정부가 ESG 공시 의무화 제도의 확정에 앞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의 목소리만 너무 크게 들린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부분 과도한 걱정과 함께 제도 도입을 최대한 늦춰달라는 주문인데요,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의견도 폭넓게 듣도 균형잡힌 선택을 해야겠지요. |
|
|
ESG 공시 논란, 투자자 등 정보 이용자의 의견은 왜 묻지 않나 |
|
|
그동안 ESG 공시 의무화를 둘러싼 논쟁은 기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에 초점이 맞춰진 게 사실입니다. KSSB는 정보 제공자인 기업의 의견은 충분히 들었다고 판단하고, 앞으로 투자자와 학계 등 정보 이용자 쪽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적극 청취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
|
ESG 공시, “추정치에 대한 우려 지나쳐...추정 근거 명확히 밝히면 된다” |
|
|
백태영 ISSB 위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ISSB의 ESG 공시기준이나 이에 기반한 국내 KSSB 기준 초안에 대해 재계의 오해가 적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는 특히 재계가 연결기준 공시나 추정치 공시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는 것과 관련, 공시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