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공시 의무화를 가급적 늦춰달라는 재계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우리 기업들의 ESG경영에 대한 기본 인식과 철학, 글로벌 동향에 대한 이해, 실행 의지와 진정성 등에 의문을 갖게 만듭니다. |
|
|
공시 초안 놓고 ‘민낯’ 드러낸 한국 재계와 정부 |
|
|
재계는 최근 기업 설문조사와 세미나 등을 통해 ESG 공시 의무화에 대한 입장을 취합했고, 정부에 곧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ESG를 가급적 피하거나 미루는 게 상책인 ‘귀찮은 규제’ 정도로 인식하는 속내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ESG 공시, 왜 빨리할수록 좋을까요? |
|
|
기업들은 ESG 공시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힘들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ESG 공시는 기본 목적이 기업의 리스크 관리에 있는 것이지 데이터의 정확한 측정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
|
|
|